토스에서 미국 주식을 사고 한참 재미를 보고 있었는데ㅠㅠ
최근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-10~ 20% 주가 폭락을 피할 수 없었다.
그래서 미국 장기 채권으로 눈을 돌렸다.
과연
US 미국 국채 25년 만기 상품, 안전할까?
미국 국채는 전 세계에서 가장 신용도가 높은 자산 중 하나입니다.
특히 **장기 국채(20~30년 만기)**는 금리 변화에 매우 민감한 자산이에요.


📉 국채 가격은 왜 떨어질 수 있나요?
국채 가격은 금리와 반비례합니다. 즉:
- 금리가 오르면 → 채권 가격은 떨어집니다.
- 금리가 내리면 → 채권 가격은 올라갑니다.
예시:
현재 시장 금리가 7%이고, 당신이 7% 수익률 국채를 산다면?
➡️ **지금은 ‘적정가’**에 산 것이므로 괜찮아요.
하지만 향후에:
- 금리가 8%로 상승하면, 신규 채권이 더 매력적이 되므로 당신의 채권은 가격이 하락합니다.
- 반대로 금리가 5%로 하락하면, 당신의 채권은 가격이 상승해 시세 차익도 기대할 수 있어요.
📌 정리: 가격이 떨어질 수도 있나요?
✅ 네, 떨어질 수 있습니다.
특히 25년 만기처럼 장기 채권은 금리 변화에 더 민감해서,
시장 금리가 오르면 가격 하락 폭도 더 큽니다.
📈 연 7% 수익률이라면 좋은 기회일까?
요즘 미국 장기 국채 수익률이 4~5% 수준인 걸 고려하면,
연 7% 수익률은 굉장히 높은 편이에요. 그렇다면 다음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:
- 할인 발행 채권:
원금보다 낮은 가격에 구매하고, 만기 시 전액 상환 받아서 수익률이 7%가 되도록 설계된 경우. - 시장 가격 하락으로 YTM(만기 수익률)이 오른 경우:
과거보다 금리가 올랐기 때문에 예전보다 싸게 살 수 있고, 그만큼 수익률도 높아진 상태.
💡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?
투자 목적 추천 방식
| 만기까지 보유 예정 | 가격 변동은 크게 신경 안 써도 됨. 매년 7% 수익률 유지 가능. |
| 중간에 매도할 가능성 있음 | 금리 리스크 있음. 가격 하락 가능성 유의해야 함. |
| 시장 예측 어려움 | 일부 분할 투자 + 만기 구간 다양화(바벨 전략) 고려 |
🧾 마무리 요약
항목 설명
| 상품 | 미국 국채 (25년 만기) |
| 수익률 | 연 7% |
| 가격 변동 가능성 | 금리 상승 시 하락 가능 |
| 보유 전략 | 만기까지 보유하면 수익률 확정, 중도 매도 시 주의 필요 |
| 현재 평가 | 고수익이지만, 금리 리스크 감안 필요 |
투자에 앞서 상품의 정확한 이름, 발행 조건, 수익 지급 방식을 꼭 확인하고
다음주 환율을 보고 사야겠다.
지금 환율 또한 이슈가 크다보니, 섣불리 들어갔다가는 주식만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니 조금 더 지켜보겠다.
반응형